-
짬뽕. 3,500원. 익산지역의 짬뽕가격이 향원 빼고 모두 올랐다. 그저 그런 재료에 그저 그런 맛에 가격까지 인상되어 가끔 배달해 먹던 중국집 음식을 이젠 배달해 먹지 않는다. 짬뽕이 먹고 싶으면 일반 중국집이 아닌 유명하며 맛있는 집이나 정통 요리전문점에서 먹으면 된다. 가격 차이..
황제짬뽕. 10,000원. 황제짬뽕 재료에서 부터 조리까지 다르기에 황제짬뽕이라 했나. 재료의 구성만 봐도 명품이라 할만하다. 전북이 통째로 올라가고 낙지도 한 마리 통째로 들어가고 자연산 송이도 들어간다. 그리고 키조개 관자, 큼직한 새우, 해삼, 굴 등 해산물이 푸짐하다. 맛을 어떨..
짬뽕. 5,000원. 넓은 그릇에 야채와 홍합, 동죽을 올린 푸짐한 짬뽕이 나온다. 그릇이 크기에 더 푸짐하게 보이나. 해물과 야채종류를 면 위에 푸짐하게 올려준다. 미리 조리해둔 짬뽕이 아니라 주문 받고 조리를 해주기에 야채의 숨은 살아있고 해물은 부드럽다. 홍합과 동죽을 많이 넣어..
삼선짬뽕. 5,500원. 아리산 지나가다 많이 본 집. 그 이상은 아니었는데, 면과 요리가 좀 다르다고 한다. 거기에다 만두가 괜찮다는데. 삼선짬뽕의 해물. 갑오징어를 사용한. 국물의 맛은 깔끔한 편이다. 비린 맛이나 씁쓰름함, 텁텁함이 느껴지지 않는다. 해물의 신선함과 재료들을 제대로 ..
콩국수. 4,500원. 향원은 꾸준히 다닌다. 짬뽕을 너무 좋아하기에. 짬뽕을 먹기 위해 향원을 들렸는데 할머님이 콩국수를 먹어보란다. 무척 자신이 있으신 표정으로. 어떨까. 중국집에서는 물냉면이나 콩국수는 먹지 않는데, 처음으로 중국집에서 주문한 콩국수. 할머님의 솜씨를 믿기에 ..
아는 분이 괜찮다고해서 찾아간 집. 가장 기본인 간짜장과 짬뽕, 탕수육을 주문. 잘 볶아준 짜장. 향도 진하고 맛도 괜찮았던. 면과 같이 먹으니 고소함이 좋다. 간짜장은 마음에 드는. 탕수육. 바삭함 뒤에 폭신함이 있다. 탕수육 제대로 하는 집은 두 번 튀긴다. 잘 튀겼는데 소스가 케첩..
삼선짬뽕. 5,000원. 작년 초여름의 사진이기에 변화가 있다. 가격은 그대로 이지만 해물의 양이 줄어든. 다른 곳에서 삼선짬뽕 7,000원 할 때 5,000원에 해물의 푸짐함을 즐겼던. 해삼의 두터움과 해물의 푸짐함. 생새우의 득직함 그리고 자극적이지 않은 국물 맛. 육수를 사용하는데, 닭 육수..
길명반점 익산에 단골이 많은 집. 화교분이 운영하고 대를 물린 집이다. 탕수육도 맛있다고 소문난. 케첩을 넣지 않고 예전 방식 그대로 하얀 탕수육이다. 식초와 간장을 적절히 사용해야 맛있는 탕수육이 되는. 소스는 예전 방식 그대로이지만. 요즘의 입맛에 맞춰 찹쌀가루를 사용해 바..
잡채밥. 은은한 맛이 있다. 재료의 특성을 잘살려 조리를 해주신. 야채의 식감도 살아있고, 재료의 맛도 좋지만 양념과 간을 잘하여 먹기에 좋다. 맛있게 볶아내 준 잡채밥. 잡채의 맛과 고기의 식감, 재료들의 어울림이 좋다. 볶음밥. 잘 볶아 내주셨다. 계란과 잘 볶아진 밥알들. 눅눅하..
8년전 지나가다 들린 집. 너무 작았던 아들과 들려 먹은 맛, 무척 맛있었는데. 함열의 중국집 짬뽕과 함께 기억에 남아, 함열의 중국집과 석불회관을 하루에 들렸다. 함열의 중국집은 맛이 변해 도저히 사진을 찍을 수 없는 정도였던. 그 얼큰함과 푸짐한 해물 그리고 돼지고기 전혀 보이지..